처음으로
서브이미지
서브배너
 
서브타이틀

측만증이란 앞뒤에서 봤을 때 일자이어야 할 척추가 C자나 S자 같이 옆으로 휘는 것을 말합니다. 골반, 허리, 등에서 측만이 시작될 수 있고 이에 대한 보상작용으로 윗부분에서 반대로 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골반과 어깨의 높이가 다르고 등의 높이도 좌우가 다르며, 앞에서 보면 가슴이 한 쪽이 더 돌출되게 보입니다.

가벼운 측만증의 경우 어릴 때는 별다른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보기에 좋지 않고 정서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척추에 걸리는 하중이 달라짐에 따라 추후 만성적인 척추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소아나 청소년의 경우 측만증의 변화가 크기에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며 성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원인

기능성 측만증은 불량한 자세, 골반 삐뚤어짐, 척추 디스크로 인한 통증 등으로 유발됩니다. 초기에는 통증이 없으나 갈수록 만성적은 등 통증을 겪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X-ray상 척추의 회전 변이가 일어난 상태가 아니며, 상체를 숙이거나 누울 때는 허리가 곧게 펴집니다. 또한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하면 측만증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와는 달리 특발성 측만증은 전체 측만증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질환으로 뚜렷한 원인 없이 척추가 휘게 됩니다. 성장기 청소년에게 많이 나타나며, 조기에 발견하여 측만증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

척추 측만증이 나타나게 되면 척추와 연관된 모든 부위에서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구부정한 어깨, 좌우 어깨 높낮이 차이, 좌우 골반 불균형으로 인한 전신적인 피로감과 뻐근함을 비롯해서 안면 비대칭, 턱관절 장애, 일자목, 휜다리, 평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척추의 변이가 심해지는 경우에는 심폐기관이나 소화기관, 골반내 장기 등 척추와 인접한 장기에까지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치료

환자의 증상에 맞춰서 척추의 틀어진 변이를 교정하고 골반의 균형을 맞추는 추나치료, 측만증으로 생기는 통증을 제어하고 척추 기립근의 긴장을 풀어주는 물리치료, 체형의 균형을 맞추는 침구치료, 턱관절과 족부의 올바른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보조기 치료 등이 이루어집니다. 특히 성장기의 청소년의 경우에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를 받는 것이 측만증 증상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맨위로 이동
처음으로 척추스토리 청정한약관리시스템 개인정보처리방침 개인정보취급방침 홈페이지이용약관 홈페이지제작전문 마인드소프트/온웹